간호사에서 정신분석가, 다시 철학과에 가기까지


간호사였던 제가 정신분석가가 되고, 
다시 철학과 대학원에 가기까지의 여정을 짧은 영상으로 담아 보았습니다. 

"Dans le langage notre message nous vient de l'Autre, ...,
sous une forme inversée."

우리의 메시지는 대타자로부터 우리에게 전도된 형태로 돌아온다. 


에크리 국역본 14페이지에 나오는 문장입니다. 매우 단순한 문장이지만 많은 의미를 함축하고 있기도 합니다. 이 문장에 대해 다양한 관점으로 설명했습니다.
Jacques-Alain Miller a fait, de la schize entre l’œil et le regard, « le secret du champ visuel », puisque cette schize contient la castration comme condition de l’ouverture sur le monde du visible.

자크 알랑 밀레는 응시와 눈 사이의 분열에 대해 “시각 장의 비밀”이라고 말한 바 있는데,  이러한 분열이 가시적인 세계로 개방되는 조건으로서의 거세를 함축하기 때문이다.



라깡 정신분석에서 이야기하는 응시와 어린아이에게서 발병할 수 있는 환각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CCTV, 카메라 등등 기술이 점점 발달하는 현대 사회에서, 응시와 시각장의 관계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